Post

군대에서 코딩 공부하기 - GitHub Codespaces

군대에서 GitHub Codespaces를 활용해 코딩 공부하는 방법

군대에서 코딩 공부하기 - GitHub Codespaces

군대에서 코딩 공부의 어려움

요즘 군대는 일과 후 개인 정비 시간이 충분해, 자기계발을 할 수 있는 여건이 점점 나아지고 있습니다. 저 역시 이 시간을 활용해 코딩 공부를 하려고 했지만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습니다.

  1. 매번 개발환경을 새로 설치해야 한다
    싸지방에서는 PC가 초기화되어 있어, 매번 VS Code와 확장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해야 했습니다.

  2. 클라우드 기반 개발환경은 비용이 들거나 기능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Goorm IDE는 간편하지만 확장 프로그램 설치가 제한적이고 기능이 부족합니다.

  3. 서버 기반 개발환경 구축이 어렵다
    AWS EC2에 code-server를 설치하려 했지만, Java 설치 도중 시스템이 멈추는 등 여러 문제로 실패했습니다. 무료 서버의 성능 문제로 보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해줄 수 있는 도구가 바로 GitHub Codespaces입니다.


GitHub Codespaces란?

Codespaces는 GitHub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개발환경으로, 웹 브라우저 상에서 VS Code와 거의 동일한 환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code-server는 본인이 서버를 설치하고 관리해야 하지만, Codespaces는 GitHub만 있으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레포지토리 기반 개발: 각 레포지토리에 연결되어 코드 편집, 커밋, 실행이 가능
  • 무료 계정 기준 월 60시간 사용 가능

🎓 Student Developer Pack으로 시간 늘리기

대학교 이메일이 있다면 GitHub Student Developer Pack을 신청해 Pro 계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Codespaces를 월 최대 90시간까지 사용할 수 있어 더 여유롭게 공부할 수 있습니다.


Codespaces 사용 방법

1. 기존 레포지토리에서 시작하기

  1. GitHub에서 원하는 레포지토리에 접속
  2. 초록색 <> Code 버튼 클릭
  3. Codespaces 탭 선택 후 Create codespace on main 클릭
  4. 웹 기반 VS Code 환경으로 자동 진입

2. 새로운 레포지토리에서 시작하기

  1. GitHub에서 새 레포지토리 생성
  2. 레포지토리에서 <> Code > Codespaces > Create codespace 클릭
  3. 자동으로 Codespace가 만들어지며 개발환경이 생성됨

⚡ 성능 높이기: 머신 타입 변경

기본적으로 Codespaces는 2코어 머신에서 실행되며, 일반적인 개발에는 충분합니다. 하지만 더 무거운 작업이 필요할 경우 4코어 머신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4코어로 변경하는 방법

  1. Codespace 생성 후, 해당 레포지토리로 이동
  2. <> Code 버튼 클릭
  3. 생성된 Codespace 옆 점 3개 클릭
  4. Change machine type 선택 → 4코어 선택

⚠️ 주의: 4코어를 사용하면 시간 소모도 두 배입니다.
무료는 월 30시간, Pro 계정은 월 45시간만 사용 가능


마무리

지금까지 군대에서 GitHub Codespaces를 활용해 코딩 공부하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개발환경을 구축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매우 유용하며, 군대뿐만 아니라 개인 노트북이 없거나 급하게 코딩이 필요한 상황에서도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저처럼 군대에서 개발 공부를 시작하려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